readme.md 2

다사다난 해 - 2023년 회고

무엇부터 써내려가야 할지 모르겠다. “쓰다 보면 완성되겠지. 2023년 처음으로 기억을 되돌려서 시작할까? 어디서부터 시작할까..” # 서비스 종료 작년에 B2B 위주의 회사에서 데카킬이라는 서비스를 기획하였다. 트위치 플랫폼에서 제 3자가 실시간으로 퀴즈를 내고 문제를 맞히면 포인트를 받고, 그 포인트를 통해서 상품을 살 수 있는 그러한 플랫폼이었다. 데카킬을 만드는 중간에 팀에 합류되었다. 데카킬 팀에는 10년 차 이상의 수준급 디자이너, PM이 있었지만 나는 프론트엔드로서 React도 제대로 모르고 JS도 잘 몰랐기 때문에 신입이 만든 Vue.js를 이해하지도 못하였다. 나는 문제를 출제하는 페이지를 React로 만들었고 신입은 트위치 서드파티 플랫폼을 Vue.js로 만들었다. 와이리 통일성이 없너..

readme.md 2023.12.31

[우아한 테크세미나] 테크 리더 3인이 말하는 "개발자 원칙" 정리

제어할 수 없는 것에 의존하지 않기 / 인프랩 이동욱 CTO "일정은 지키지만 버그가 많은 것 vs 일정은 못 지키지만 버그가 없는 것" 프로그래머에게 요구되는 것은 100점이 아닌 80~90점짜리 프로그램을 기한 내에 완성하는 일이다. - 나카지마 사토시 "프로덕트 엔지니어의 일은 고객이 원하는 기능을 고객이 원하는 시점에 전달하는 것"이 프로덕트 엔지니어로써의 해야할 일이다. 퀄리티 보다 일정이 중요한가? 아무리 급해도 항상 80~90점짜리 소프트웨어를 일정 내 개발하는 방법이 중요하다. "일정을 항상 잘 지키는 분들의 공통점" 가장 좋은 코드를 선택하는 방법은? "본인만의 기준과 원칙으로 빠르게 결정" "선택의 순간마다 고민 하는 사람"보다는 "원칙에 따라 빠르게 결정하고 중요한 것만 고민하는 사람..

readme.md 2023.03.3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