Oracle(오라클) 5

데이터 모델링

01.데이터 모델링의 개념 [1] 데이터베이스 생명주기 요구사항 수집 및 분석 -> 설계 -> 구현 -> 운영 -> 감시 및 개선 1) 요구사항 수집 및 분석 :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듣고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범위를 정하는 단계 // 사용자의 범위(고객, 운영자, 경영자 등)와 서비스 수준을 정하는 것. 2) 설계 : 분석된 요구사항을 기초로 주요 개념과 업무 프로세스 등을 식별하고(개념적 설계), 사용하는 DBMS의 종류에 맞게 변환(논리적 설계)한 후,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도출(물리적 설계) 3) 구현 : 설계 단계에서 생성한 스키마를 실제 DBMS에 적용하여 테이블 및 관련 객체(뷰, 인덱스 등)를 만든다. 또한 관련 소프트웨어에 설계한 데이터베이스를 적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..

Oracle(오라클) 2020.07.27

004 - SQL 기초

01. SQL 개요 DBMS는 SQL 문을 해석하고 프로그램으로 변환하여 실행한 후 결과 출력. SQL(Structured Query Language)은 1970년대 후반 IBM이 SEQUEL(Structured English QUEry Language)이라는 이름으로 개발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표준 언어로 승인. SQL은 데이터 부속어(data sublanguage)라고 한다. - DB의 Data와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고 처리하는 문법만 갖고 있기 때문. SQL은 DBMS에 직접 입력, 클라이언트/서버 응용 프로그램에 삽입하여 사용 가능. HTML 웹 페이지 문서에 삽입, 다른 개발 도구에서 직접 실행이 가능. 구분 SQL 일반 프로그래밍 언어 용도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추출하여 문제 해결 모든 문..

Oracle(오라클) 2020.07.15

003 - 관계 데이터 모델

01. 관계 데이터 모델의 개념 [릴레이션] : 행과 열로 구성된 테이블 [1]관계(Relationship)는 두 가지 개념으로 볼 수 있다. 1) 릴레이션 내에서 생성되는 관계. 실제 데이터들의 집합 2) 릴레이션 간에 생성되는 관계. 릴레이션 간의 관계 [2] 스키마와 인스턴스로 이루어진다. 스키마(Schema) : 관계 데이터베이스의 릴레이션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어떤 정보를 담고 있는지에 대한 기본적인 구조를 정의. 스키마는 테이블의 첫 행인 헤더(Header)에 나타남. 각 데이터의 특징을 나타내는 속성, 자료 타입의 정보를 가짐 인스턴스(Instance) : 정의된 스키마에 따라 테이블에 실제로 저장되는 데이터의 집합을 의미. [3] 릴레이션 스키마 : 릴레이션에 어떤 정보가 담길지 정의. 속성..

Oracle(오라클) 2020.07.14

002 - 요구분석과 시스템 설계 그리고 모델링

[정보시스템 구축 절차 요약]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분석, 설계, 구현, 시험, 유지보수의 5가지 단계를 거친다. 여기서는 분석과 설계에 대해서 알아보자. *분석 - 시스템 분석 또는 요구사항 분석이라고 부른다. - 우리가 '무엇을(What)'할 것인지를 결정한다. - 분석 결과로 많은 문서를 작성해야한다. 설계 - 시스템 설계 또는 프로그램 설계라는 용어로 부른다. - 우리가 구축하고자 하는 시스템을 '어떻게(How)'할 것인지를 결정한다. [데이터베이스 모델링과 필수 용어] 분석과 설계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 중의 하나가 '데이터베이스 모델링'이다. 현실세계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Oracle에 어떻게 옮길지 결정하는 과정. ex) 인터넷 쇼핑몰에서는 사람(또는 회원)이 필요하다..

Oracle(오라클) 2020.07.07

001 - Database란?

[데이터베이스의 정의] 데이터베이스 : 데이터의 집합, 데이터의 저장공간 DBMS : 데이터베이스를 관리·운영하는 역할. [데이터베이스의 특징] 1) 데이터 무결성 : 오류가 있어서는 안 된다. //제약조건 필요 2) 데이터 독립성 : 데이터베이스의 크기, 저장소 변경 시 기존 작성된 응용 프로그램은 전혀 영향이 없어야 한다. 3) 보안 : DB 내부 데이터에 데이터를 소유한 사람이나 데이터의 접근이 허가된 사람만 접근 가능. 4) 데이터 중복의 최소화 : 동일 데이터가 여러 개 중복되어 저장되는 것을 방지 5) 응용프로그램 제작 및 수정이 쉬워짐 : 통일된 방식으로 응용프로그램을 작성 가능, 유지보수 또한 쉬움. 6) 데이터의 안정성 향상 : 백업·복원 기능을 이용함으로써, 데이터가 깨질 경우, 복원 ..

Oracle(오라클) 2020.07.07